ESG Insight 주요 해외 연금기관의 ESG 경영·투자 전략 현황 및 쟁점 분석(6)
페이지 정보
본문
복수/중복 규제에 대한 대응: 앞서 글로벌 공시 동향에서 살펴본 대로, 연기금들은 현재 다중 규제 환경(multi-regulatory environment)에 직면해 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가 다국적 기업들로 구성된 경우, EU CSRD/ESRS, ISSB, 미국 SEC 규정, 영국/호주 등의 기후공시법 등 서로 다른 여러 기준의 정보를 모두 수집·보고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데이터 호환성과 보고부담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과제입니다. 예를 들어 EU ESRS는 이중중요도 원칙에 따라 기업 영향까지 공시하게 하지만,
ISSB는 재무적 중요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정보 범위와 단위 등이 다릅니다.
또 SEC 기후공시는 엄격한 배출량 정의와 한도(materiality 기준)를 적용하나, EU는 보다 포괄적인 접근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글로벌 포트폴리오를 가진 연기금에게 추가적인 분석과 해석을 요구합니다.
대응 방안으로 일부 연기금은 내부에 ESG 표준 전담팀을 꾸려 각 규제별 요구사항을 맵핑(mapping)하고 통합 리포팅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능하면 최고 수준의 공시기준 하나를 채택해 일원화함으로써 다중 보고를 피하려는 노력도 있습니다 (예: 캐나다 연기금 다수가 ISSB 기준을 선제 도입하여 동일 기준으로 EU 요구도 충족시키겠다는 전략).
동시에 국제기준 간 상호인정 및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대화에도 연기금들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결국 다중 규제 대응의 핵심은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것으로, 기술적으로는 ESG 데이터 플랫폼 강화와 팀 전문성 제고,
전략적으로는 규제 방향성을 예측한 선제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에 의견이 모이고 있습니다.
이때 부각되는 ESG 이슈가 물리적 위험(Physical risk)과 전환 위험(Transition risk)의 관리입니다.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해수면 상승은 부동산 및 인프라 자산의 가치와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연기금들은 자산단위의 기후 리스크 평가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캐나다 연기금 CDPQ는 보유 부동산별로 홍수, 폭염 위험을 점수화하여 투자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물/인프라 자산의 탄소중립 전환전략도 중대합니다.
유럽에서는 부동산의 탄소배출 경로를 1.5℃ 목표에 맞추기 위한 CRREM 지표가 확산되고 있는데, 네덜란드 ABP는 부동산 포트폴리오 100%를 2030년까지 CRREM 경로와 정렬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는 건물단열, 냉난방 효율화, 신재생 전력사용 등을 통해 건물 운용시 발생하는 배출을 감축하는 계획입니다.
GPIF의 경우 부동산 펀드 투자의 83%가 GRESB 부동산 평가체계에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자산운용 단계에서 ESG 인증과 성과측정을 중시합니다.
인프라 투자에서도 ESG 실사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환경영향, 지역사회 수용성, 안전 등을 꼼꼼히 점검하고 있습니다. 한편 실물자산의 경우 데이터 부족이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비상장 자산의 ESG 정보는 공개기업 대비 미흡하기에, 연기금들은 운용사에게 해당 정보를 요구하거나 공동개발하고 있습니다.
GPIF도 “사모펀드 투자기업의 배출량 데이터가 부족하여 EV(Enterprise Value) 기준으로 간접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듯이, 실물자산 영역은 향후 ESG 데이터 인프라 개선이 요구됩니다.
요약하면, 연기금들은 실물자산 부문에서 기후 리스크를 정량화하고, 대응계획을 세우며, 표준 도구(예: GRESB, CRREM) 활용을 확대함으로써 포트폴리오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주요 연금기관의 ESG 접근 방식 비교 (요약표)
아래 표는 앞서 살펴본 연기금별 ESG 전략의 특징을 전환전략, 데이터 활용, 주주활동, 공시체계 측면에서 요약 비교한 것입니다.
각 기관이
처한 환경과 지향점에 따라 접근 방식에 차이가 있지만, 2050 넷제로 목표, 포괄적 ESG 통합,
투명성 제고라는 큰 방향성은 공유하고 있습니다.
기관명
|
탄소전환 전략 (기후목표 및 포트폴리오 조정)
|
ESG 데이터 활용 (측정·분석 도구)
|
의결권·관여활동 (주주참여 전략)
|
공시·보고 체계 (투명성)
|
일본 GPIF (세계 최대 연금) |
• 넷제로 공식목표는 없음, 정부 정책과 보조 맞춤 • 포트폴리오 15%를 ESG지수로 투자 (소극적 탈탄소) • 화석연료 기업 배제하지 않고 보유, 외부 압력으로 전환 유도 |
• TCFD 기반 기후 시나리오 분석 실시 • Scope1-3 탄소발자국 매년 산출 (데이터 벤더 활용) • 대체자산도 ESG 실사 의무화 (사모펀드 배출 추정) |
• 위탁운용사 통해 관여활동 (자체 의결권 미행사) • 운용사 PRI 서명 필수, 연간 관여성과 평가 • 기업대화로 KPI·감축목표 개선 유도 (예: 저탄소 제품 도입) |
• 연간 ESG 리포트 발간 (영문 공개) • 포트폴리오 탄소배출·ESG지표 공개 • 일본 Stewardship Code 및 ESG 보고지침 준수 |
미국 CalSTRS (교직원 공적연금) |
• 넷제로 2050 공식 선언, 2030년 50% 감축 목표 • 상장주식 20% 저탄소지수 전환, 채권 12% 감축 등 • 화석연료 직접배제는 없음, 다만 석탄 등 투자 축소 |
• 포트폴리오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자산별 측정) • 2019–2021년 저탄소전환 연구 수행 (시장 영향 분석) • 기후리스크 대시보드 이사회 보고 (정량지표) |
• 적극적 의결권 행사 – 기후공시 미흡 2천여개 社 이사 선임 반대 • 기업 관여활동 적극 – 메탄규제 지지 서한, 대형 배출기업 개입 • 정책 옹호 – 투자자 연합으로 정부에 기후행동 촉구 |
• 연차 지속가능성보고서 및 TCFD 보고 • 주총 의결내역 공개 (ESG 이슈별) • 英 스튜어드십 코드 승인 (투명성 우수) • 투자원칙 및 기후계획 웹공개 |
네덜란드 ABP (공무원·교직원연금) |
• 넷제로 2050 약속, 2030년 50% 감축 목표 • 2024년 화석연료 생산업체 전면 투자철수 완료 • 재생에너지 투자 2030년 300억 € 목표 (녹색포트폴리오 전환) |
• 투자포트폴리오 탄소발자국 2015년부터 공개 • 자산군별 1.5℃ 시나리오 정렬도 평가 (CRREM 등 활용) • 운용사에 기후목표 설정 요구 (매니저 선정시 평가) |
• 선별적 관여활동 – 화석기업엔 관여 중단 (매각 선택) • 기타 투자기업엔 과학기반 감축목표 요구, 미흡시 지분정리 검토 • 글로벌 이니셔티브 참여 (PAII 등)로 정책제언 |
• 연차 책임투자보고서 및 TCFD 보고 발행 • 포트폴리오 구성·성과 상세 공개 (상위종목·ESG점수 등) • 네덜란드 기후약정 이행 결과 공시 • 외부 검증 도입 (데이터 신뢰성) |
영국 USS (사학연금, 교직원) |
• 넷제로 2050 선언, 2030년 50% 감축 목표 • 화석연료 일부 보유 유지, 단 직접 석탄 노출 낮춤 • 2023년까지 포트폴리오 탄소강도 21%↓ (점진 감축) |
• 고급 기후분석 – Exeter대와 시나리오 개발 • Scope3 데이터 절반 포트폴리오에 도입 (추정치 보완) • 내부 넷제로 워킹그룹 운영, 운용사에 ESG평가지표 적용 |
• 관여중심 스튜어드십 – 대화로 고배출기업 전환 유도 (예: Cemex 사례) • 의결권 연계 – 기후이슈 미흡 기업 이사 재선임 반대 방침 • 회원 대응 – 화석투자 논란에 소통, 법적 대응 승소 |
• 매년 TCFD 보고서 공개 (기후리스크 전반) • UK DWP 기후공시 규정 준수 (웹 게재) • 투자포트폴리오 공개 수준 제한적 (민감정보 고려) • 英 Stewardship Code 인증 획득 |
- 이전글국내외 토지 &주택 공공기관의 ESG 정책 동향(1) 25.08.10
- 다음글주요 해외 연금기관의 ESG 경영·투자 전략 현황 및 쟁점 분석(5) 2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