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GICS(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상위 11개 섹터
페이지 정보
본문
GICS(Global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상위 11개 섹터 기준으로 정리한 산업별 공통 ESG 리스크 매핑입니다.
각 섹터별로 E(Environmental), S(Social), G(Governance) 영역에서의 구조적 리스크를 핵심 이슈로 정리하였으며,
이는 MSCI, Sustainalytics, SASB, CSRD 등의 주요 평가 및 공시 기준을 종합 분석한 결과입니다.
GICS Sector (11개)
|
Industry Group (25개)
|
1. Energy |
1.1 Energy Equipment & Services1.2 Oil, Gas & Consumable Fuels |
2. Materials |
2.1 Chemicals2.2 Construction Materials2.3 Containers & Packaging2.4 Metals & Mining2.5 Paper & Forest Products |
3. Industrials |
3.1 Capital Goods3.2 Commercial & Professional Services3.3 Transportation |
4. Consumer Discretionary |
4.1 Automobiles & Components4.2 Consumer Durables & Apparel4.3 Consumer Services4.4 Retailing |
5. Consumer Staples |
5.1 Food & Staples Retailing5.2 Food, Beverage & Tobacco5.3 Household & Personal Products |
6. Health Care |
6.1 Health Care Equipment & Services6.2 Pharmaceuticals, Biotechnology & Life Sciences |
7. Financials |
7.1 Banks7.2 Diversified Financials7.3 Insurance |
8. Information Technology |
8.1 Software & Services8.2 Technology Hardware & Equipment8.3 Semiconductors & Semiconductor Equipment |
9. Communication Services |
9.1 Telecommunication Services9.2 Media & Entertainment |
10. Utilities |
10.1 Electric Utilities10.2 Gas Utilities10.3 Multi-Utilities10.4 Water Utilities10.5 Independent Power and Renewable Electricity Producers |
11. Real Estate |
11.1 Equity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REITs)11.2 Real Estate Management & Development |
산업별 공통 ESG 리스크 매핑 (GICS 상위 11개 섹터 기준)
GICS 섹터
|
환경 (E)
|
사회 (S)
|
지배구조 (G)
|
1. 에너지 (Energy) |
- 탄소배출 (Scope 1~3)- 메탄 누출- 자산 매몰 위험 (Stranded Assets) |
- 산업안전 사고- 지역사회 영향 (수질, 건강 등) |
- 부패 리스크- 로비 활동의 투명성 |
2. 소재 (Materials) |
- 수질오염 및 오염물질 배출- 생물다양성 훼손- 자원 고갈 |
- 광물 채굴 과정의 인권침해- 현장 근로자 안전 |
- 공급망 투명성 부족- 윤리적 원자재 조달 |
3. 산업재 (Industrials) |
- 공정 내 에너지 집약성- 폐기물 관리 부실 |
- 기계설비 안전- 고객/공공안전 사고 |
- 부당계약, 하도급 불공정- 데이터 공시 미비 |
4. 경기소비재 (Consumer Discretionary) |
- 제품 생산의 환경영향- 과대포장, 지속불가능 소비유도 |
- 노동착취/아동노동 (특히 패션)- 소비자안전 |
- 브랜드 리스크 (윤리성)- 공급망 통제 미비 |
5. 필수소비재 (Consumer Staples) |
- 수자원 사용 과다- 포장 폐기물 및 식품 낭비 |
- 제품 품질 및 안전사고- 공급망 내 인권 |
- 가격 책정 투명성- 마케팅 윤리 |
6. 헬스케어 (Healthcare) |
- 바이오 폐기물 처리- 에너지 소비 증가 |
- 환자 프라이버시- 신약 접근성 형평성 |
- 임상 데이터 조작 위험- R&D 리스크 공시 부족 |
7. 금융 (Financials) |
- 자산군의 기후 리스크 노출- ESG 고려 없는 대출/투자 |
- 고객 데이터 유출- 금융접근성 불평등 |
- 이사회 독립성 부족- 성과보상 왜곡 |
8. 정보기술 (Information Technology) |
- 데이터센터 탄소배출- 전자폐기물 (e-waste) |
- 프라이버시 침해- 알고리즘 차별성 |
- 기술 독점 및 반경쟁 행위- 조세회피 |
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Communication Services) |
- 방송장비 전력소비- 전자파 관련 우려 |
- 혐오 콘텐츠/정보 왜곡 유포- 미성년자 보호 |
- 콘텐츠 규제 회피- 데이터 소유 구조 불투명 |
10. 유틸리티 (Utilities) |
- 석탄/천연가스 발전 탄소배출- 송배전 손실 |
- 에너지 접근성 형평성- 정전 리스크 |
- 인프라 투자 투명성- 공공요금 책정 리스크 |
11. 부동산 (Real Estate) |
- 건축물 탄소/에너지 효율- 토지 이용 변화 |
- 임대자 안전·보건- 지역사회 수용성 |
- 임대료 인상 논란- ESG 인증 조작 리스크 |
GICS 11개 섹터별 이중중대성 평가 항목 매트릭스
산업군
|
재무적 중대성 (Financial Materiality)
|
환경·사회적 중대성 (Impact Materiality)
|
1. 에너지 |
원유·가스 가격 변동성, 탈탄소 투자, 공급망 안정성, 기후리스크 재무영향 (e.g., TCFD 시나리오) |
Scope 1,2,3 탄소배출, 메탄 누출, 생태계 파괴, 공정전환(Just Transition) |
2. 원자재 |
자원가격 변동, 생산지 정치리스크, 규제 비용, 자산수명 손상 |
생물다양성 훼손, 수자원 사용, 인권 침해(현지 커뮤니티), 토지이용 분쟁 |
3. 산업재 |
공급망 리스크, 기술개발 투자, 안전사고에 따른 비용, 인프라 수명 |
산업재해, 납품지연의 사회적 영향, 탄소배출, 지역사회 충격 |
4. 경기소비재 |
브랜드 가치, 제품 리콜 위험, 시장 평판, ESG 인증 여부 |
노동환경, 아동노동 이슈, 제품 내 화학물질, 공급망의 인권 |
5. 생활필수품 |
식량원료 가격, 유통 리스크, 품질·위생 규제 위반, 수익 마진 |
영양 불균형, 과도한 플라스틱 포장, 지속불가능한 농업 관행 |
6. 헬스케어 |
임상실패 리스크, 특허 소송, 연구윤리 위반, 공급망 혼란 |
환자 접근성, 윤리적 임상시험, 보건형평성, 개발도상국 대상 전략 |
7. 금융 |
기후리스크 자산 노출, 녹색 포트폴리오 비중, 규제벌금 리스크 |
지속가능 투자 유도, 포용금융 확대, 저소득층 대상 접근성 |
8. 정보기술 |
사이버보안 사고비용, 알고리즘 편향 리스크, 기술투자 실패 |
프라이버시 침해, 알고리즘 윤리, 디지털 격차 문제 |
9.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
플랫폼 규제 리스크, 광고수익 구조, 콘텐츠 불법성 리스크 |
가짜뉴스 유포, 플랫폼 내 혐오표현, 디지털 접근성 문제 |
10. 유틸리티 |
전력망 인프라 투자, 규제위반 벌금, 기후변화로 인한 재무영향 |
온실가스 배출, 수질오염, 에너지 접근성 격차 |
11. 부동산 |
공실률 상승, 시장 수요 변화, 규제비용 (ex. 제로에너지 기준) |
도심환경 영향, 지역사회 연결성, 고령자/취약계층 접근성 |
- 이전글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1) 25.07.20
- 다음글[지속가능경영 & ESG 경영] 지금,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2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