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컨텐츠 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2)
페이지 정보
본문
지속가능보고서 프로젝트는 초기 기획 단계부터 자료수집, 작성, 검증, 발간에 이르는 일련의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
아래 도식은 주요 수행 단계와 의사결정 흐름을 나타냅니다. 각 단계는 다음 목차별 세부 업무와 연계되어 마이크로 밸류체인을 형성합니다.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주요 단계 흐름도. 초기 계획 수립부터 이해관계자 참여를 거쳐 중대성 이슈를 선정하고, 이에 따라 데이터 수집 및 보고서 작성이 이루어지며, 최종 검증·디자인을 거쳐 발간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프로젝트 초반에 목표와 범위를 설정하고(킥오프),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통한 중대성 평가를 거쳐 보고서에 담을 핵심 이슈를 결정합니다.
그 후 각 이슈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관련 부서에서 수집하고, 섹션별 원고 작성→내부 검토→수정의 컨텐츠 개발 사이클을 수행합니다.
작성된 보고서는 내부 검증과 외부 검토 절차를 통해 내용과 데이터의 정확성을 점검하며, 최종 디자인 편집을 거쳐 경영진 승인 후 대외공시 및 발간에 이릅니다.
이러한 프로세스 전반에서 프로젝트 매니저(PM)는 일정과 협업을 관리하고, ESG 컨설턴트와 공시 전문가는 콘텐츠 품질과 기준 준수를 책임지며, 디자이너는 시각적 완성도를 담당합니다.
1. 지속가능성 전략 및 경영진 메시지
이 섹션에서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목표를 제시하고, 필요에 따라 CEO 등의 경영진 메시지를 포함합니다.
독자에게 기업의 ESG 비전과 의지를 전달하는 핵심 파트로서, GRI 공시 기준의 전략 항목과 (경영진 서신에 해당하는) 지속가능성 서약을 담습니다
전략 자료 수집 및 벤치마크 – 담당: ESG 컨설턴트 (리드); 협업: 고객사 CSR/ESG 전담팀, 경영기획팀. 먼저 기업의 기존 ESG 전략 문서를 확보하고 동종 업계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사례를 벤치마킹합니다.
ESG 컨설턴트는 고객사의 CSR 또는 ESG 전담부서로부터 내부 전략 보고서, ESG 관련 정책과 목표(KPI 목록 등)를 전달받고, 필요시 업계 벤치마크 자료를 조사합니다.
목적: 보고서에 포함할 전략의 방향성과 범위 파악, 경쟁사 대비 강점 파악.
산출물: 기업 ESG 전략 핵심요약 및 벤치마크 인사이트 정리문서.
경영진 인터뷰 및 의견수렴 – 담당: 프로젝트 매니저 (주관); 참여: ESG 컨설턴트; 협업: 고객사 경영진(CEO/CSO), ESG위원회.
지속가능성 전략에 경영진 의지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젝트 매니저는 CEO 또는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와의 인터뷰/미팅을 조율합니다.
인터뷰를 통해 중장기 ESG 비전과 목표를 확인하고, 얻은 인사이트를 전략 섹션에 반영합니다.
또한 내부 ESG 협의기구(이사회 ESG위원회 등)가 있다면 그 의견도 수렴합니다.
목적: 최고경영층의 메시지와 회사 전략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여 보고서에 반영.
산출물: 경영진 코멘트 및 지침 메모.
CEO 메시지 초안 작성 – 담당: ESG 컨설턴트 (작성); 검토: 프로젝트 매니저, 고객사 홍보실. CEO 서문이나 지속가능경영 총괄 메시지를 대리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ESG 컨설턴트는 수집된 경영진 의견과 기업 ESG 성과를 바탕으로 CEO 메시지 초안을 작성합니다.
내용에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의 의지, 주요 성과와 향후 계획이 포함됩니다.
작성된 초안을 프로젝트 매니저와 기업 홍보실이 검토하여 어조와 키메시지가 적절한지 확인하고, 이후 CEO 본인의 수정을 받아 확정합니다.
산출물: CEO 메시지 최종본.
2. 조직 개요 및 기업 소개
이 섹션은 독자에게 기업에 대한 기본 이해를 제공하는 파트로, 회사 개요와 경영환경을 기술합니다.
GRI 일반공시 기준으로 조직 명칭, 사업내용, 위치, 규모
등의 정보를 포함하며, 기업의 비전과 핵심가치도 소개됩니다.
ESG 컨설턴트는 IR(Investor Relations)팀으로부터 회사 연혁, 조직도, 임직원 수, 사업 구조, 재무 하이라이트 등의 데이터를 제공받습니다.
목적: 보고서에 포함될 모든 기업 정보의 정확성 확보 및 최신화.
산출물: 회사 개요 데이터 목록 및 자료원 출처 정리표. 공시 전문가는 수집된 정보가 GRI 공시 요구사항(예: GRI 2-1~2-6)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이전 연도 보고서나 홈페이지 공개정보와 일관성 검증을 수행합니다.
조직 개요 섹션 초안 작성 – 담당: ESG 컨설턴트 (작성), 협업: 고객사 IR팀, 경영전략실.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기업 소개 내용을 기술합니다.
회사의 역사와 현재 사업영역, 비전 및 미션, 핵심가치를 서술하며 , 지속가능경영과의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ESG 컨설턴트가 초안을 작성하면, 필요시 IR팀이나 전략 부서의 사실 확인을 거쳐 내용을 보완합니다.
목적: 독자에게 회사에 대한 포괄적 이해 제공 및 지속가능경영 맥락 소개.
산출물: 조직 개요/기업 소개 섹션 원고 초안.
내부 검토 및 확정 – 담당: 프로젝트 매니저 (조율), 협업: 고객사 IR팀; 검토: 공시 전문가. 작성된 기업 소개 초안을 내부 검토 회람합니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IR팀 담당자와 함께 사실관계 오류나 민감한 공개정보가 없는지 확인하고, 공시 전문가는 추가로 필요한 공시항목(예: 법인 형태, 운영지역 목록 등)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점검합니다.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ESG 컨설턴트가 수정하면, 최종적으로 고객사의 IR팀 또는 경영진의 확인/승인을 받아 섹션 내용을 확정합니다.
산출물: 조직 개요 섹션 확정본(디자인 이전 텍스트).
전략 섹션 작성 및 검토 – 담당: ESG 컨설턴트 (작성); 검토: 공시 전문가, 고객사 ESG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과 목표를 체계적으로 기술합니다.
단기/중장기 ESG 목표와 달성 현황, 추진체계, 전략과제 등을 서술하며, 전체 기업 비즈니스 전략과의 연계성을 명확히 합니다.
ESG 컨설턴트가 원고를 작성하면, 공시 전문가는 GRI 공시사항(GRI 2-22 지속가능발전전략에 관한 진술 등)이 모두 충족되었는지 점검합니다.
고객사 ESG 담당자도 내용을 검토하여 자사 전략과 부합 여부를 확인합니다.
목적: 독자에게 회사의 ESG 로드맵을 명확히 제시.
산출물: 지속가능성 전략 섹션 원고 확정본.
- 이전글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3) 25.07.20
- 다음글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1) 2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