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3) > Board

본문 바로가기
맞춤형 상담 요청하기   메뉴 열기
 

Board

기획컨텐츠 GRI Standards 기반 지속가능보고서 작성 프로세스(3)

페이지 정보

본문

3. 이해관계자 참여

이 섹션에서는 기업이 주요 이해관계자(stakeholders)들을 어떻게 식별하고, 어떤 방식으로 소통/협력하고 있는지 서술합니다. 
주주, 직원, 고객, 공급업체, 지역사회 등 각 이해관계자 그룹의 관심사항과 참여활동을 기술하며, GRI 공시사항(GRI 2-29 이해관계자 참여 등)에 대응합니다
 

이해관계자 식별 및 니즈조사 – 담당: ESG 컨설턴트; 협업: 고객사 CSR(사회공헌) 또는 홍보/대외협력부. 먼저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 그룹을 재확인하고, 각 집단의 기대사항을 조사합니다.
기존에 실시된 이해관계자 설문조사나 인터뷰 자료가 있다면 CSR팀으로부터 제공받고, 별도의 조사가 필요하면 컨설턴트가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내부직원 만족도 조사 결과나 지역사회 주민 의견수렴 내용 등을 수집합니다
목적: 이해관계자의 관심사 파악으로 보고서 핵심 이슈 도출 기반 마련
산출물: 이해관계자 목록 및 주요 기대이슈 정리표.

이해관계자 참여 활동 정리 – 담당: ESG 컨설턴트 (작성); 검토: 고객사 CSR. 기업이 각 이해관계자와 소통한 활동과 성과를 정리합니다.
예를 들어정기 간담회 개최 현황, 고객만족도 조사, 노사협의 채널, 협력사 의견청취 프로그램, 지역사회 공헌 활동 등을 기술합니다.
 ESG
컨설턴트가 초안을 작성하면 CSR팀이 빠진 사례가 없는지 검토하고 보완 자료를 제공합니다
산출물: 이해관계자 참여 섹션 초안 (각 이해관계자별 표 혹은 서술 형태).

내용 검증 및 확정 – 담당: 공시 전문가 (검토); 협업: 고객사 홍보실인사팀. 작성된 이해관계자 참여 내용이 사실에 근거하고 일관성 있게 표현되었는지 점검합니다.
공시 전문가는 GRI 기준 준수를 확인하고(: 이해관계자 참여 절차, 주요 관심사항에 대한 대응 등 언급 여부),
홍보실과 인사팀은 대외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표현을 검토합니다 (특히 민감한 이해관계자 이슈 표현 확인).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확정합니다
산출물: 이해관계자 참여 섹션 확정본.
 

4. 중대성 평가 (Materiality Assessment)

중대성 평가 결과 섹션에서는 기업이 어떤 ESG 이슈를 중요하게 선정했는지와 그 과정을 보여줍니다.
이는 보고서의 중심 주제를 결정하는 중요한 절차로서 일반적으로 중대성 매트릭스 도식과 중요 이슈 목록을 포함합니다해당 수행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대 이슈 예비 목록 도출 – 담당: ESG 컨설턴트 (분석); 협업고객사 전사 기능부서 대표들기업과 업계의 광범위한 ESG 이슈를 식별하여 예비 이슈 목록을 작성합니다.
컨설턴트는 글로벌 동향동종업계 보고서, ESG 평가항목 등을 참고하여 환경사회거버넌스 관련 잠재 이슈 풀을 만듭니다.
이후 고객사 각 부서(환경안전팀인사팀연구소생산팀 등)와 워크숍을 열어 내부 의견을 수렴합니다
목적: 기업의 상황에 맞는 모든 관련 이슈를 포괄적으로 식별
산출물: 중대성 평가 예비 이슈 리스트.

이해관계자 중요도 평가 – 담당프로젝트 매니저 (주관); 협업이해관계자 대표식별된 이슈들에 대해 외부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중요도 평가를 실시합니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고객사와 협의하여 투자자고객협력사지역사회 대표 등에게 설문조사 또는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이해관계자들은 각 이슈의 영향도나 관심도를 점수로 평가하고그 결과를 취합합니다
목적: 외부 시각에서 본 이슈 중요성 데이터 확보
산출물: 이슈별 이해관계자 중요도 평가 결과 (점수 또는 순위).

중대성 매트릭스 작성 및 검증 – 담당: ESG 컨설턴트 (분석/도식화); 검토공시 전문가고객사 ESG위원회.
내부 영향도(기업 관점 중요도)와 외부 영향도(이해관계자 중요도두 축으로 하는 중대성 매트릭스를 작성합니다.
ESG 
컨설턴트는 앞 단계까지 수집된 내부 평가 및 외부 평가 결과를 조합하여 각 이슈의 위치를 결정하고상위 중요 이슈 목록을 선정합니다.
그 결과를 그래프로 시각화하고 서술 초안을 작성합니다.
공시 전문가는 GRI 기준 (: GRI 3-2, 3-3 중요 주제 식별 및 경계 설정)이 충족되는지 확인합니다.
또한 기업 내부 ESG위원회의 검토를 받아 선정된 중요 이슈에 대해 경영진 합의를 얻습니다산출물: 중대성 매트릭스 도식 및 중요 이슈 리스트 확정본.

보고서 반영 계획 수립 – 담당프로젝트 매니저협업고객사 ESG선정된 중요 이슈들을 보고서 본문의 구조에 반영하는 계획을 수립합니다.
프로젝트 매니저는 각 이슈를 어떤 챕터(환경사회거버넌스 등)에서 다룰지 배치하고중대성 결과에 대한 설명을 보고서에 어디에 넣을지 결정합니다.
또한 중요성 순위에 따라 보고서 내 서술 분량이나 심도를 조정하도록 지침을 정합니다
목적: 중대성 평가 결과가 보고서 콘텐츠 구성에 직접 연계되어 가치사슬을 형성하도록 함
산출물: 중요 이슈별 보고서 반영 맵(Matrix) 또는 섹션 구성안.